반응형
예상보다 70만 원이나 적게 받은 치과 보험금,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요? 치아 코드 K02·K04의 의미부터 보험금 산정 오류까지 파헤쳐보겠습니다.
1. K02 vs K04: 코드의 숨은 의미
- K02 (치아우식증): 충치 치료
- 보상 대상: 레진, 인레이, 크라운
- 한도: 크라운 연 2개까지 (대부분의 보험사)
- K04 (치수 및 치근단 주위 질환): 신경 치료
- 보상 대상: 근관 치료, 치근 농양 배출
- 한도: 연 1회 한정
→ 핵심: 코드에 따라 보상 횟수·금액이 엄격히 제한됩니다!
2. 크라운 7개에 100만 원만 받은 이유 3가지
- 연간 한도 초과:
- 크라운 연 2개만 보상 → 2개×20만 원=40만 원
- 나머지 5개는 자비 부담
- 치료 시기 문제:
- 90일 유예 기간: 가입 후 3개월 내 치료 시 50%만 지급
- ex) 2개월 전 가입 → 20만 원×50%×2개=20만 원
- 코드 적용 오류:
- K04(신경 치료)로 잘못 코드 입력 → 한도 1회 적용
- ex) 크라운 7개 → 1개×20만 원=20만 원
3. 즉시 확인해야 할 3가지
- 보험 증권 확인:
- 크라운 연간 한도 (보통 2~4개)
- 유예 기간 존재 여부
- 진료 기록 확인:
- 진단서에 K02/K04 코드가 정확히 기재되었는지
- 치료 일자와 보험 가입 일자 대조
- 보험사 지급 내역서 요청:
- 각 크라운·레진 항목별 지급 금액·거절 사유 상세 확인
4. 재심사 청구 절차
STEP 1. 병원에 코드 정정 요청
- "K02 코드로 수정해 주세요" → 진단서 재발급 (5,000~10,000원)
STEP 2. 보험사에 서류 재제출
- 수정된 진단서
- 치료비 세부 내역서
STEP 3. 추가 지급 요구
- 전화: 고객센터에 "한도 미달 적용 오류" 보고
- 이메일: 치료 일자·코드 증거 자료 첨부
STEP 4. 금융감독원 신고
- 보험사가 30일 내 답변 없을 경우 1332로 전화
5. 예방 팁: 다음엔 절대 안 당하는 법
- 가입 전 체크:
- 크라운 연간 한도 (최소 4개 이상 추천)
- 유예 기간 없는 상품 선택
- 치료 전 확인:
- 의사에게 치아 코드 직접 물어보기
- "보험 한도 내에서 치료 계획 수립해 주세요" 요청
- 청구 시 필수 문서:
- 치료 명세서: 크라운·레진 개수·코드 명시
- 방사선 사진: 보험사 증거 자료로 활용
결론: 작은 정보가 큰 금액을 지킵니다!
치과 보험은 코드 한 글자, 한도 하나가 결과를 완전히 바꿉니다. 위 절차를 따라 누락된 70만 원을 반드시 찾아내세요. 건강한 치아와 지갑을 모두 지키시길 바랍니다! 🦷💸
반응형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