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드론 날리기 전 꼭 체크해야 할 5가지-250g만 넘어도 필수! 등록 안 하면 300만 원 벌금

by master.o 2025. 3. 30.
반응형

요즘 드론은 취미부터 영상 촬영까지 다양한 용도로 쓰이지만, 막상 사고 나면 소유주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습니다. 2024년 7월 기준 국내 미등록 드론 사고의 68%가 소유주 확인 실패로 처리되지 않고 있는데요, 이제는 철저한 등록 시스템으로 안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. 당신의 드론이 법적 문제에 휘말리지 않도록 필수 절차를 알려드립니다.


▣ 등록 필수 VS 면제 드론 구분법

등록 의무 대상

  • 모든 250g 이상 : 아이폰14 무게(240g)보다 조금 더 무거우면 무조건
  • 카메라 장착 기종 : 100g 초과 드론도 카메라 있으면 등록

등록 면제

  • 250g 미만 + 카메라 없음 : 초소형 장난감 드론
  • 실내 전용기 : 창문 닫고 집 안에서만 비행

예시

  • DJI 미니3 프로 (249g) : 카메라 있으므로 등록 필요
  • 텔로 드론 (87g) : 카메라 있지만 250g 미만 → 등록 불필요

▣ 3분 만에 끝내는 온라인 등록 매뉴얼

STEP 1. 준비물

  • 신분증 (주민등록증·운전면허증)
  • 드론 시리얼넘버 (배터리 분리 후 본체 하단 확인)

STEP 2. 접속

STEP 3. 정보 입력

  • 소유자 개인정보
  • 드론 모델명·제조번호·구매일자

STEP 4. 등록번호 부착

  • 받은 식별번호를 3cm×2cm 크기로 출력 → 드론 본체에 부착
  • 또는 NFC칩 구매 후 내장 (온라인 약 5,000원)

STEP 5. 확인

  • 등록증 PDF 다운로드 → 휴대폰에 보관

▣ 드론맵 필수 활용법

1. 금지구역 실시간 확인

  • 공항 반경 9km, 군사시설 5km 내 자동 경고
  • 서울 도심·한강 상공 등 주요 제한구역 표시

2. 허가구역 신청

  • 앱 내에서 직접 비행허가 신청 (24시간 전)
  • 처리상황 실시간 푸시 알림

3. 비행일지 작성

  • 자동으로 비행시간·경로 기록 → 사고시 증거자료

▣ 사고 발생시 대처법

1. 응급조치

  • 부상자 발생시 119 신고
  • 재산피해시 현장 사진 촬영

2. 신고 의무

  • 24시간 내 관할 경찰서에 사고신고
  • 드론등록증·보험증권 제출

3. 보험 처리

  • 드론 전용보험 가입시 보상 가능
  • 미가입시 민사소송 위험 ↑

▣ 초보자를 위한 안전 수칙

  1. 최초 비행 전
    • 프로펠러 점검
    • 배터리 잔량 100% 확인
  2. 비행 중
    • 시야 내 유지 (직접 눈으로 확인)
    • 고도 150m 이하 준수
  3. 비행 후
    • SD카드 백업
    •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

"디지털 시대의 스마트 관리"

  1. 블록체인 등록
    • 등록정보를 NFT로 발행 → 분실시 추적 용이
  2. AI 조종보조
    • 자동 귀환 시스템 설정
    • 장애물 회피 프로그램 업데이트
  3. 클라우드 기록
    • 모든 비행데이터를 구글드라이브에 자동 저장

▣ Q&A : 현장에서 묻는 질문

Q. 중고로 구입했는데 등록 어떻게?
A. 전 소유자가 등록취소 → 새 소유자가 재등록

Q. 등록번호 분실시?
A. 시스템에서 재발급 가능 (1회 1,000원)

Q. 외국에서 구입한 드론도 등록해야 하나요?
A. 국내에서 비행시 반드시 등록 필요


"마지막 체크리스트"

  • 드론 무게 측정
  • 카메라 유무 확인
  • 등록시스템 접속
  • 드론맵 앱 설치

드론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한 첫걸음은 올바른 등록입니다. 이 가이드가 하늘을 나는 당신의 즐거운 취미 생활을 지켜줄 것입니다! 🚁✈️

반응형

댓글